-
삼성전자주가의 현재와 미래(두번째 이야기)한국 주식 2022. 7. 1. 01:00728x90반응형SMALL
안녕하세요. 투자 큐레이터, 다비조이입니다.
오늘 여러분과 소통할 주제는, 기존 포스팅한 주제인 '삼성전자의 과거와 미래'에 이어, 두번째 이야기입니다.삼성전자 최근 30년 주가 그래프
최근, 삼성전자가 속절없이 폭락하고 있습니다.
6만전자(6만원 주가의 삼성전자)가 최저점일 줄 알았던 한국 시가총액 1위 기업의 위상은 온데간데 없습니다.
경기민감주의 대표적인 분야 중 하나인, 반도체와 가전을 주력 제품으로 하는 삼성전자라고는 하지만, 이정도로 폭락하는 것은 전문가들도 쉽게 예상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삼성전자 주당 가격 6만원이 무너지고, 5만원대에 머물고 있고, 앞으로 더 떨어질 거라는 회의적인 시각도 팽배합니다.
이렇게 주가가 떨어지는 이유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겠습니다만 정리하자면,
1. 세계적인 경기침제와 경기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반도체 분야가 주력 (경기민감주)
2. 전자제품 및 반도체 분야의 시장이 이미 포화상태로 들어섰다는 평가를 바탕으로, 미래 성장성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 (반도체 성장성 둔화)
3. 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한 외국인 매도세 급증
물론 주가가 상승하고 하락하는 데는 많은 이유들이 있기 때문에, 위 3가지가 모든 이유라고는 할 수 없음을 분명히 강조드립니다.삼성전자 21년 1분기와 22년 1분기 주요 재무재표
하지만 삼성전자의 매출은 여전히 견고합니다.
2021년 1분기 실적에 비해 2022년 1분기 실적을 보면, 모든 재무제표가 나아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도 말씀드렸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떨어지는 것은,
주가는 현재가 아닌 미래가치를 선반영 하기 때문입니다. 즉, 미래의 매출이 불투명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삼성전자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소식들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기존에 제가 포스팅한 '삼성전자의 과거와 미래'에서,
삼성전자의 미래 성장성을 가늠할 분야로 이미지센서를 언급하였습니다.
4차 산업혁명의 총아인 자율 주행차와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필수 시스템 반도체인 이미지센서의 현재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는 소니입니다.
최근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22년 1분기 기준 소니의 시장점유율이 44.6%, 2위인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28.7%입니다.
21년 4분기의 24.5% 격차에 비해, 올해 1분기 결과로는 15.9%로 격차가 축소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최근 '2억화소' 이미지센서 양산에 들어간다고 밝혔습니다.
현재까지 발표된 이미지 센서 중 가장 작은 픽셀을 탑재했고,
픽셀 크기가 작아지면서 스마트폰의 카메라 모듈 크기도 작아지고 성능과 색 표현력은 더 높인 제품입니다.
고화소/고화질 이미지센서로 소니를 따라잡는 것 이상으로, 시장을 주도하겠다는 뜻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이미지센서 분야에서 삼성전자가 세계 1위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생각이 듭니다.
또한,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인 TSMC보다 앞선 반도체 최첨단 공정 기술력을 확보하였습니다.
현재 가장 최첨단 공정은 4나노미터인데, 삼성전자는 3나노미터 공정 기반의 반도체 양산을 시작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여기서 나노미터(NM)는, 10억분의 1m를 뜻하는 것으로,
공정 기술이 작아질수록, 칩 면적이 줄어들고 처리 속도는 빨라짐에도, 소비 전력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지는, 더 효율적이고 성능 좋은 반도체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단지 문제는, 얼마나 불량품 없이 정상적인 제품을 실제로 생산할지가 관건입니다.
이를 '수율' 이라고 부르는데, 수율이 낮아진다는 것은, 쉽게 말해 불량품이 많아진다는 뜻입니다.
만약 수율이 낮다면, 삼성전자의 반도체를 사용하고자 하는 고객사들이 낮은 수율의 삼성전자의 제품을 사용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입니다.
하지만, 세계 최초의 3나노 반도체 공정 기술로 반도체 매출을 끌어올릴 수 있는 기반을 닦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올해 하반기와 내년의 삼성전자 반도체 매출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식은 투자자들의 기준이 각자 다르므로, 삼성전자를 어떤 식으로 바라볼지는 개인의 선택입니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강조하고 싶은 점은, 삼성전자 주식투자를 고려할때,부정적인 요소(경기침체, 원가상승, 반도체시장 성장 둔화 등) 와
긍정적인 요소(고성능 이미지센서, 고효율 반도체 생산 등) 를 같이 생각해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728x90LIST'한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 투자자 순매수 종목 TOP 10 (코스피) (0) 2022.07.08 주식사는법-우선주와 배당 (0) 2022.07.04 경기방어주와 CJ제일제당, 그리고 애그플레이션 (0) 2022.06.29 돈 버는 방법-저평가된 지주사 (0) 2022.06.09 단순한 삼성전기 (0) 2022.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