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퇴직연금 재테크-디폴트옵션과 TDF자산관리와 투자방법 2022. 6. 27. 06:00728x90반응형SMALL
안녕하세요. 투자 큐레이터, 다비조이입니다.
오늘 여러분과 소통할 주제는, 디폴트옵션과 TDF 입니다.
2022년 7월 12일부터 디폴트옵션이 도입 및 시행됩니다.
디폴트 옵션(사전지정운용제)이란, 퇴직연금 가입자가 퇴직연금을 직접 운용하지 않고 방치되고 있으면, 회사나 근로자가 사전에 지정한 방법으로 자동 운용되도록 한 제도입니다.
한국에서는 대부분의 근로자들이 퇴직연금을 원금보장형 상품에 넣어놓고 방치하고 있다보니, 퇴직연금 수익율이 연 3%도 안될 정도로 낮아 물가상승률에도 미치지 못해, 퇴직 후 삶이 퇴직연금으로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하는 제도입니다.
이러한 디폴트 옵션의 대표적인 상품이 바로 TDF입니다.
미국에서는 이미 1981년에 도입되어, 반드시 퇴직연금의 30% 이상을 TDF 상품으로 선택하게 해, 노후를 위한 연금 주축 펀드로 자리잡았습니다.
그렇다면 TDF란 무엇일까요?
TDF(타겟 데이트 펀드)는 Target Date Fund의 약자로, 여기서 Target Date란 자신의 은퇴 시점 연도를 뜻합니다.
자신의 은퇴시점을 설정하여 펀드를 선택하면 펀드 매니저가 투자자의 생애주기에 맞춰 채권과 주식의 비중을 조절해 운용해주는 펀드입니다.
이 상품의 특징은, 은퇴가 아직 오래 남아있는 청년기에는 위험자산인 성장주 위주의 주식을 큰 비중으로 운용하고, 은퇴시점에 다가갈수록 안전자산인 채권의 비중이 높아지며, 은퇴 시점에는 채권의 비중이 최대 80%까지 높아집니다.
모든 TDF 상품의 바로 뒤에는 숫자가 붙는데, 이 숫자는 은퇴 시점의 연도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TDF2050은 나의 은퇴시점을 2050년으로 생각한다는 뜻입니다. 일반적인 관점으로 60세에 은퇴한다고 가정한다면, 2022년인 지금 28년후에 60세가 되는 32세인 분들이 선택하는 펀드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하지만, 보통 TDF는 5년 주기로 설정되기 때문에, 30대 초반이신 분들은 TDF2050, 30대 중후반이신 분들은 TDF2045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현재로서는 은퇴를 생각하게 되는 실질적 나이대인, 40~50대가 주고객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은퇴시점이 2055년 이후가 되는 사회초년생들을 위한 상품도 출시되고 있습니다.
디폴트 옵션 도입 후, TDF 시장은 매년 20~30%의 성장이 예상되고, 은퇴할때까지 투자하는 장기투자 상품이기 때문에 한번 선택한 TDF 상품은 사람들이 도중에 바꾸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자산운용사들이 고객을 선점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연금펀드는 일반적으로 투자자가 직접 일일이 찾아보고 정보를 모아서 고르거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서 본인의 상황과 나이게 맞게 펀드를 추천받아 주기적으로 바꿔줘야 하지만, TDF 상품은 자산의 비중이 자동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관리할 일이 딱히 없습니다.
그리고 시중에 나와있는 TDF 상품은 대부분 비슷한 성격과 수수료를 설정하고 있어서 어떤 상품을 고를까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지 자신의 은퇴시점을 잘 생각해 상품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단점이 있다면, 펀드 매니저가 펀드를 나 대신 굴려 주기 때문에, 그만큼 펀드의 보수(수수료)가 다른 펀드에 비해 높다는 뜻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연 0.6% 수준입니다. 즉, 내가 1년에 100만원을 넣으면 6천원을 보수로 내야 한다는 뜻입니다. 작은 금액일때는 얼마 안되 보이나, 쌓이면 큰 수수료가 됩니다.
하지만, 수수료보다 더 큰 장점이 있는 상품이라는 점은 확실합니다.
수수료가 그래도 아까우시다면, TDF ETF를 사용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2022년 6월말에 출시된 TDF ETF는, TDF처럼 예상 은퇴연령에 따라 자산을 배분해준다는 장점과 펀드 매니저의 재량으로 투자상품의 포트폴리오가 계속 변동되어 추가 수익을 만들수 있다는 ETF의 장점을 합쳐놓은것과 동일합니다.
또한, TDF ETF의 총보수는 연 0.4% 정도에 불과하여 일반 TDF에 비해 수수료가 저렴하고, 일반 ETF처럼 주식시장에서 바로바로 매수/매도를 할 수 있으며, 투자상품의 포트폴리오를 내가 직접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 또한 존재합니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본인이 사용하는 자산운용사의 TDF를 자신의 은퇴시점에 맞게 가입하고, 동시에 본인의 투자성향이나 상품의 투자 포트폴리오에 따라 TDF ETF를 가입 및 활용해서, 나의 퇴직연금의 수익율을 높이는 투자방법을 추천드립니다.
728x90LIST'자산관리와 투자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금이자 높은 은행 상품 순위 TOP 10과 투자방법 (0) 2022.07.07 주식폭락-손절 타이밍 잡는 방법 (4) 2022.07.05 주식시작하는법-수익률 높이는 방법 (0) 2022.06.22 주식투자의 성공과 실패-휴브리스 (0) 2022.06.20 주식시작하는법-주식투자에 대한 자세 (0) 2022.06.15